
한대협타임즈 배상미 기자 기자 | 중국 거대 온라인 유통업체 테무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대한 대응으로, 판매 제품에 무려 145%에 달하는 '수입 수수료'를 부과하면서 소비자 가격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경쟁사인 쉬인 역시 가격 인상에 동참하면서 미·중 무역 갈등의 불똥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으로 튀고 있는 모양새다.
미국 경제 방송 CNBC의 28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테무에서 과거 18.47달러에 판매되던 여름 원피스의 현재 가격은 44.68달러로 2배 반 가까이 폭등했다. 아동용 수영복은 12.44달러에서 수입 수수료 18.68달러가 더해져 31.12달러에 판매 중이며, 16.93달러짜리 휴대용 진공청소기는 21.68달러의 수수료가 붙어 40.1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심지어 12.25달러에 판매되던 다육식물 화분 세트에는 17.75달러의 수수료가 부과되어 30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테무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품목에는 수입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으며, 이는 구매자를 대신해 미국 세관 당국에 지불하는 금액을 포함한 모든 세관 관련 절차와 비용을 포함한다"고 명시했다. 다만, 실제 세관 당국에 지불하는 금액과 표시된 금액이 다를 수 있다는 점도 덧붙였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테무의 경쟁사인 쉬인 역시 미국 정부의 '소액 면제 제도'(de minimis) 폐지를 앞두고 미국 내 판매 상품 가격을 줄줄이 인상했다. 키친타월 10개 세트 가격은 1.28달러에서 무려 377%나 급등한 6.10달러에 판매되고 있으며, 미용 및 건강용품 상위 100개 제품의 평균 가격은 51%나 올랐다. 가정용품, 주방용품, 장난감 등 다른 주요 품목들도 평균 30% 이상의 가격 인상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 온라인 유통 공룡들의 잇따른 가격 인상은 미·중 무역 갈등의 여파가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전가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빠르게 성장했던 테무와 쉬인의 가격 경쟁력 약화는 물론, 미국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경제적 부담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향후 미·중 무역 정책 변화에 따라 온라인 쇼핑 시장의 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