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협타임즈 배상미 기자 | 고속도로 교량 하부나 철도 역사 인근의 빈 땅이 택배 물류 거점으로 탈바꿈한다. 도심 접근성이 뛰어난 공공 유휴부지를 활용해 급증하는 생활물류 수요에 대응하고 배송 효율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국토교통부는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국가철도공단 등 관계 기관과 협의하여 전국 7개소, 총 3만 9000㎡ 규모의 공공 유휴부지를 생활물류시설 용지로 공급한다고 19일 밝혔다. 입주할 민간 사업자 모집은 오는 20일부터 시작된다.
이번에 공급되는 부지는 고속도로 교량 하부 4곳(2만 8000㎡)과 철도 관련 부지 3곳(1만 1000㎡)으로 구성됐다. 국토부는 지난 3월부터 지자체 및 물류 업계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후보지를 물색해 왔으며, 도심 진입이 용이해 물류 이동 효율이 높은 곳을 최종 선정했다.
그간 택배 물류센터가 주로 도시 외곽에 편중되어 있어, 도심 내 배송 거리가 멀어지고 이에 따른 교통 체증과 대기 오염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정부는 이번 유휴부지 활용이 이 같은 비효율을 개선하는 ‘도심 물류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업자 선정은 각 기관의 합동 평가단이 맡는다. 부지 활용 계획과 시설 운영의 적정성을 중점적으로 심사하되, 중소·중견기업에는 가점을 부여해 진입 장벽을 낮췄다.
특히 이번 평가에서는 택배 종사자의 근로 환경 개선 항목이 대폭 강화됐다. 평가단은 ▲자동분류기 설치 여부 ▲악천후(우천·동절기) 대비 시설 ▲휴게 공간 확보 계획 등을 꼼꼼히 따져 입주 업체를 선정할 방침이다.
심지영 국토부 첨단물류과장은 “도심 인근에 물류 시설이 확보되면 배송 거리가 줄어들어 사회적 비용 절감은 물론 종사자들의 업무 피로도 또한 낮아질 것”이라며 “앞으로도 물류 처리가 시급한 지역을 중심으로 시설 공급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참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20일부터 각 기관(도로공사·코레일·철도공단)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공고문을 통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