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나는 행정 일꾼! 인천, 드론으로 도시 혁신 '날개' 달다

 

한대협타임즈 배상미 기자 | 인천이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도시 행정의 선두 주자로 우뚝 섰다. 4년 연속 드론 실증도시 선정이라는 탄탄한 기반 위에, 해양 쓰레기 수거부터 섬 지역 택배, 말라리아 방역까지 드론을 '행정 일꾼'으로 전면 배치하며 시민 삶의 질 향상과 드론 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겠다는 야심 찬 청사진을 제시했다.

 

드론, 인천 도시 관리의 핵심 엔진으로 부상

 

인천시는 지난해 10월 문을 연 '드론 도시관리센터'를 중심으로 드론 행정의 밑그림을 착실히 그려나가고 있다. 오는 2025년부터 2027년까지 도시 관리 기능을 고도화하고, 2026년부터 2029년까지는 '인천형 드론 운영 지침'을 개발해 드론 비행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기술 지원 및 평가 체계를 확립할 계획이다. 총 21억 원이 투입될 이 사업은 도심 내 드론 상용화를 위한 필수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방점을 찍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사업은 '스마트(드론 활용) 해양환경관리 시스템'이다. 해양수산부의 오션뉴딜 공모사업에 선정된 이 시스템은 이미 옹진군 일부 섬 지역에서 드론을 활용한 환경 감시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친 상태이다.

 

오는 2027년부터는 옹진군 전역과 강화도까지 확대 적용하여 상용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어서 기대감이 높다. 국비 74억 7천만 원, 시비 34억 3천만 원, 민간투자 8억 원 등 총 117억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인천시의 강력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시민 체감형 드론 서비스, 삶 속으로 깊숙이

 

인천시는 드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를 도시 안전, 보건, 환경, 시설 관리, 물류 배송 등 5개 분야로 확장하며 시민들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국토교통부 드론실증도시 공모사업 유치를 통해 추진력을 얻은 인천시는 2026년부터 2029년까지 인천형 공공서비스 드론 모델을 개발하고 상용화할 방침이다.

 

주요 활용 분야로는 ▲갯벌 안전관리 ▲말라리아 방역 ▲대기환경 감시 ▲하천관리 등 시민 체감도가 높은 행정이 중점적으로 추진된다. 총사업비 75억 8천만 원(국비 25억 3천만 원, 시비 50억 5천만 원)이 투입되어 드론이 시민들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멀리 떨어진 섬 지역에 생필품이나 의약품을 드론으로 배송하는 모습도 머지않아 현실이 될 전망이다. 이는 단순한 행정 효율화를 넘어 도서 지역 주민들의 생활 편의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드론 산업 생태계 조성과 사회적 수용성 확대 두 마리 토끼 잡는다

 

인천시는 드론 활용 행정 확대와 더불어 드론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소 드론 기업을 위한 맞춤형 바우처 지원사업이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총 8억 원을 들여 진행된다.

 

시제품 제작, 기술 자문, 특허 출원 등 사업화 전반을 지원하여 인천 드론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산화율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는 단순한 행정 효율화를 넘어 지역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겠다는 인천시의 의지를 보여준다.

 

또한, '시민 체감형 드론 체험 활성화' 사업을 통해 드론 산업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넓힐 예정이다. 2025년 사업 모델 개발을 거쳐 2026년부터 2029년까지 소외지역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드론 캠프'를 운영하고, 공공 부문 종사자 대상 전문성 교육도 병행한다. 총 20억 원의 시비가 투입되는 이 사업은 드론 기술을 미래 세대와 공유하고 드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의 이번 드론 전략은 단순한 산업 육성을 뛰어넘는다. 드론을 활용한 도시 관리 효율화와 환경 보호, 지역 균형 서비스 제공은 물론, 시민 참여형 교육을 통한 저변 확대까지 포괄하며, 행정 서비스 혁신과 미래 산업 경쟁력 확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인천시의 야심 찬 구상이 드론의 날개를 달고 현실이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