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협타임즈 배상미 기자 | 정부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물가 안정 및 민생 부담 경감을 위한 종합 지원책을 발표했다. 특히 성수품 할인 지원에 역대 최대 규모인 900억 원을 투입하고, 택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책도 강화한다.
정부는 15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확정했다. 이번 대책은 △성수품 물가 안정 △민생부담 경감 △지방 중심 내수 활성화 △국민 안전 확보 등 4대 분야에 중점을 뒀다.
성수품 공급 확대 및 대규모 할인 지원
정부는 추석 수요 급증에 대비해 배추, 사과, 돼지고기 등 21대 주요 성수품 17만 2000톤을 평시 대비 1.6배 늘려 공급한다.
또한, 전통시장과 온라인몰에서 성수품 및 선물세트를 최대 50%까지 할인 판매하는 데 900억 원의 할인지원금을 투입한다. 이와 함께 쌀 5만 5000톤 방출, 감자 등 6종의 식품 원료에 대한 할당관세 신규 적용을 통해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민생 부담 경감 및 택배비 지원 강화
서민과 취약계층의 부담을 덜기 위한 지원책도 다채롭게 마련됐다. 명절 물류 증가로 인한 택배비 부담 완화를 위해 관련 지원을 강화하여 국민들의 명절 준비 비용을 경감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햇살론 유스 등 총 1145억 원 규모의 명절 자금을 공급하고, 10월부터 12월까지 정부 양곡 가격을 20% 추가로 할인한다. 재난적 의료비 예산을 600억 원 증액하고, 에너지바우처 적용 시기를 2025년 12월로 앞당기는 등 서민 지원을 확대한다.
소상공인 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
소상공인에게는 명절 자금 43조 2000억 원, 대출·보증 61조 원 규모의 만기 연장을 지원한다. 온누리상품권 현장 환급 규모를 370억 원으로 확대하고, 공공배달앱 쿠폰 조건 완화, 음식점 외국인 근로자 고용 규제 완화도 검토한다.
이외에도 카드 사용 증가액에 대해 최대 10만 원을 환급하는 상생페이백을 시행하고, 지역사랑상품권 할인 폭을 기존 5~10%에서 7~15%로 확대한다.
교통·문화 혜택 및 국민 안전 확보
추석 연휴 기간에는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인구감소지역 철도 상품 50% 할인, 다자녀·장애인 가구 공항 주차장 이용료 면제 등 교통 편의를 강화한다. 국가유산, 미술관, 국립자연휴양림 등도 무료 개방한다.
명절 기간 24시간 안전상황 관리체계를 가동하고, 택배·먹거리 위생 점검을 강화해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할 계획이다.